<참고>1편. 준비 서류 목록 그리고 가족 관계 증명서 등본을 발행하는 https://m.blog.naver.com/jjjuues/2219843730752편. 토지 대장&건축물 대장 발행 https://jjjuues.blog.me/2219844289903편. 전자 수입 인지 구입 htps://jjjuues.blog.me/2219851603304. 등기 신청 수수료 납부 영수증&부동산 신고 거래 필증 출력 https://jjjuues.blog.me/221985213649소유권 이전 등기 셀프 등기 깼다(5)서류 준비-국민 주택 채권 매입
제가 셀프 등기 준비를 하면서 가장 혼란스러웠던 부분이 국민주택채권 매입인데 그 이유인 즉 공동명의의 경우 채권 매입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지 포스팅하면 잔금 당일에 하기도 하는데 뭐가 맞는지 두 부분이 애매했기 때문이다.일단 잔금 일당일에 하는 것도 좋지만 e-form 작성 시 국민주택채권 매입번호를 넣으라는 부분이 있어서 완전한 e-form을 출력해 가고 싶어서 미리 사들였다.(결론은 언제든 상관없다는 얘기!) 또한 공동명의 채권매입방법은 아래 설명ㄱㄱ[주의] 국민주택채권매입은 은행영업일 09:00~17:30만 가능1. 매입대상금액조회

주택도시기금 사이트(http://nhuf.molit.go.kr/ )에 접속하여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마련(내집마련 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마련(내집마련 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마련(내집마련 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청약/채권-제1종 국민주택채권-매입대상금액 조회에 들어간다.
매입 용도와 대상 물건 지역을 적절히 선택하고 건물의 시가표준액을 입력해주면 되지만 시가표준액을 알 수 없는 경우 ‘공동주택가격 보기’ 탭을 클릭하면 새 사이트가 자동으로 연동돼 시가표준액 조회가 바로 가능하다.시가표준액 조회하러 ㄱㄱ
지번이나 도로명 주소를 입력하고 동호수를 선택하면 공동주택 공시가격(시가표준액)을 확인할 수 있다.공시기준일이 올해 기준인지 체크한 뒤 시가표준액을 메모해둔다.나의 경우 시가표준액이 574,000,000원이다.
다시 채권 매입 금액 확인 창에 다시 조회한 시가 표준액을 입력하면 좋다.단일 인수의 경우 574,000,000원 그대로 입력하면 되고 공동 인수의 경우는 1/2값에서 2차례 매입하면 좋아서 574,000,000/2=287,000,000원을 입력한다.확인된 채권 매입 금액은 7,462,000원!( 놀라지 마세요..실제로 나오는 돈은 이 돈은 아닙니다^_^)같은 채권 매입 금액에서 나오고 남편의 이름에서 각각 채권 발행을 하면 좋다.그럼 실제로 부담해야 할 금액의 계산은?

국민주택채권 홈페이지 메인으로 돌아와 청약/채권-제1종 국민주택채권-고객부담금 조회에 들어간다.
천원 단위를 잘라낸 7,460,000원을 입력해 조회하면 오늘 기준 채권매입&즉시 매도 시 본인부담금이 나온다.개념을 모두 이해할 필요는 없고 내가 내는 돈이 140,260원(*2번)이라는 사실만 인지하고 있으면 된다. 신한은행 국민주택채권 매입편한 주거래은행에 접속해 국민주택채권 매입을 하면 되는데 국민은행 시스템이 가장 잘 돼 있어서 (라고 듣는) KB를 이용하는 분들이 많다고 한다.나는 그냥 신한은행(http://shinhan.com )을 이용했어. 해보니까 신한은행도 엄청 쉬운데…?신한은행 홈페이지 메인에서 전메뉴 – 국민주택채권서비스 – 채권건별 매입으로 접속본인 매입과 대리인 매입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각자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할 필요 없이 한 사람의 것에 접속해 매수자 양측의 채권 매입이 가능하다.매입 의무자의 이름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매입 금액에 아까 조회한 금액을 입력한다. (본인 부담금은 없는 채권 매입 금액 입력)매입 용도는 부동산 등기(소유권 보존 및 이전)을 선택하고 수납 금액을 확인한 후 다음을 누르고 진행하면 된다.같은 과정을 2번 반복하여 2차례 매입만으로 끝!정말 쉽죠?어려운 거 같은 채권 매입도 쉽게 끝나고 다음의 포스팅이 기다린 소유권 이전 등기 신청서, 즉 e-form작성을 시작하다고 생각한다.매입의무자의 성명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매입금액에 앞서 조회한 금액을 입력해준다. (본인부담금이 아닌 채권매입금액 입력) 매입용도는 부동산 등기(소유권 보존 및 이전)를 선택하고 수납금액을 확인한 뒤 다음을 눌러 진행하면 된다.같은 과정을 두 번 반복해서 두 번 매입하면 끝! 정말 쉽죠?어려울 것 같았던 채권 매입도 쉽게 끝났기 때문에 다음 포스팅에서는 고대하던 소유권 이전 등기 신청서, 즉 e-form 작성을 시작하고자 한다.